지식재산 사업화
AI 시대, IP는 곧 자산입니다.
한국지식재산관리재단은 기업과 개인이 보유한 지식재산을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로 연결시키는 지식재산 사업화 전문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특허,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기술 매칭, 사업모델 개발, 투자 유치까지 전 주기를 통합 지원합니다.
주요 서비스
01
지식재산 권리화 지원
유망 기술 및 창작 아이디어를 특허·상표·디자인 등으로 등록하고, 법적 보호체계를 구축해 권리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재단의 고문위원, 전문위원, 변리사 등이 직접 권리를 분석합니다.
02
기술 사업화 컨설팅
시장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 수립,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이전 등을 수행하며 실질적인 산업화를 돕습니다.
03
투자 유치 지원
IR 기획, 투자자 네트워킹, 데모데이 개최 등으로 사업화 단계에서 필요한 민간투자 자금 확보를 지원합니다.
04
산학연 기술 매칭 및 사업화 자문
대학, 연구소, 기업의 보유 기술을 유력 잠재 수요처와 연결하고, 사업화 컨설팅 및 기술 평가, 특허 가치 분석, 라이선싱 전략까지 맞춤형으로 제공합니다.
기대효과
01
정책적 측면
- IP 기반 창조혁신산업 활성화
- 국가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체계 고도화
- 창작자 및 중소기업의 권익 보호
02
경제적 측면
- 사장된 IP 자산의 시장 유통 촉진
- IP 기반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성장 지원
- 기업 재무건전성 개선 및 수익 구조 다변화
03
사회적 측면
- 창조인재 양성과 실무형 IP 교육 확산
-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IP 거점센터 구축
- 민간–공공–학계 협업을 통한 기술 생태계 조성
이러한 통합형 IP 사업화 지원체계를 통해, 한국지식재산관리재단은 지식이 자산으로 전환되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지식재산
Business Platform
(기술수요자와 기술공급자 매칭)
Business Platform
(기술수요자와 기술공급자 매칭)
- 대상 : 특허, 노하우, 저작권, 기술자료, 소프트웨어 등 일체의 무형 지식재산
- 거래방식 : 매매 라이선스, 기술지도, 현물출자, 기술투자, OEM/ODM,NPE매각, M&A
- 거래방식 : 매매 라이선스, 기술지도, 현물출자, 기술투자, OEM/ODM,NPE매각, M&A
구분 | 주체 | 기술개발 및 기술활용 사업화 전략방식 | 방법/특징 등 |
---|---|---|---|
기술 공급자 기술 수요자 (시장성있는 기술개발전략) |
공통 |
|
|
|
|
||
|
|
||
|
|
||
|
|
||
기술 공급자 | 정부 |
|
|
대학교 |
|
|
|
공공 연구소 |
|
|
|
기업 |
|
|
|
외국 |
|
|
|
개인 발명가 |
|
|
|
기술 수요자 | 대기업 중견기업 |
|
|
중소기업 |
|
|
|
기술벤처 스타트업 |
|
|
|
기술창업 희망자 |
|
|
|
정부, 공공기관 |
|
|
|
외국기업 |
|
|
|
NPE |
|
|
|
기술지주 회사 |
|
|